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이야기

Home - 소식 - 이야기

종이 멸균팩 ‘재활용 어려움’ 표시 그냥 버리나요? 분리수거 하나요?

Writer. 홍보팀
Date. 2023-09-08
Hit. 856


종이 멸균팩 재활용 어려움표시

그냥 버리나요? 분리수거 하나요?

 

- 환경부, 2024년부터 종이 멸균팩에 재활용 어려움개정안 고시

- 아이쿱자연드림·소비자기후행동, 기후 위기가 심각한 시대에 역행하는 방침이자 재활용 가능한 멸균팩을 일반쓰레기로 전락시키는 행정 고시라며 우려

- 종이팩은 휴지, 화분 등으로, 멸균팩은 건축 판넬로 쉽게 재활용할 수 있는 소재





 

아이쿱자연드림·소비자기후행동(이하 자연드림·소기행)은 지난 8월부터 오는 10월까지 종이팩 재활용 지지 100만 서명 캠페인 -DO, RE-!’을 진행한다

이번 캠페인은 기후 위기가 심각해지는 시대에 플라스틱 대체재로 쓰이는 종이팩의 재활용을 막는 환경부의 고시 개정안을 바로잡자는 취지이다.

 

환경부는 2024년부터 종이 멸균팩에 재활용 어려움표시를 시행한다고 고시했다지난 2021224일 환경부가 분리배출표시제에 관한 지침개정안 행정예고를 통해 종이 멸균팩에 재활용 어려움 표시를 하겠다고 발표한 후 소비자기후행동을 비롯한 시민사회단체에서 반대 의견을 개진해왔다하지만 환경부는 그대로 시행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자연드림과 소기행은 재활용이 가능한 종이 멸균팩을 일반쓰레기화 하여 소비자에게 부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우려한다고 밝혔다실제로 자연드림은 그동안 기픈물의 포장재인 종이 멸균팩을 회수해 종이타월과 화분을 만들었다. 그리고 고품질 건축 판넬인 자연드림 보드를 개발했고 상용화를 준비했다자연드림 보드는 멸균팩에 있는 뚜껑, 알루미늄, 종이를 소재 분류 없이 통째로 분쇄하고 열을 가한 뒤 성형하여 완성한다. 이처럼 재활용 과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줄여, 환경부가 우려하는 분리배출의 어려움을 해결했다. 더욱이 자연드림보드는 불연성 테스트에서 목재판넬(MDF)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기능적인 측면에서도 기대를 모은 바 있다.

 

자연드림 관계자는 멸균팩은 충분히 재활용 가능한 소재이기 때문에 환경부는 멸균팩의 분리배출 제도 개선과 재활용 공정 투자 등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재활용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라며, “이번 개정안은 기후 위기 속에 탄소 배출과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자 하는 세계적 인식과 시대적 흐름을 역행하는 행정 고시라고 밝혔다. 이는 현 정부에서 수립하고 공표한 탄소중립 기본계획과도 대립한다는 의견이다.

 

종이팩은 크게 우유를 담는 살균팩과, 두유나 주스 등에 주로 쓰이는 멸균팩으로 나뉜다. 멸균팩은 안쪽 면에 은박지 등이 들어가 있어 빛과 열의 차단 효과가 뛰어나 식음료를 장기간 실온 보관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생산-폐기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페트병에 비해 1/3 정도 낮출 수 있어 멸균팩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에 따르면 국내에서 유통되는 전체 종이팩 제품 가운데 멸균팩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4년 약 25%(1.7만 톤)에서 2022년 약 47%(3.2만 톤)까지 증가했다.

 

자연드림 관계자는 국내 페트병 소비량은 연간 56억 개로, 500ml 생수병으로 환산하면 지구 14바퀴를 돌 만큼 많은 양이다.”라며, “종이 멸균팩은 페트병 대체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내 몸 건강과 지구 환경 보호에도 우수한 포장재라고 강조했다자연드림 종이 멸균팩 재활용 지지 100만 서명 캠페인은 97일 기준 약 10.1만 명이 서명했으며, 자연드림 공식 홈페이지에서 캠페인 참여가 가능하다.